국내

광주 붕괴사고 현장 위험... 크레인 작업자, 작업중지권 발동

존재천국 2022. 1. 15. 14:40
728x90
반응형
SMALL

 

 

 

저 개발 국가에서나 나올법한

 

어처구니가 없는 사고가

 

OECD 경제교육역량 10위권 내에서

 

발생을 하고 있으니...

 

참으로 한심하네요...

 

다수의 사람들이 사는 밀집 아파트에서

 

부실 공사로 인해 인명 피해까지 발생하니...

 

사전에 위험 징후를 수차례 관계 기관에 민원을

 

넣었다고 하는데...

 

꼭 당해보아야 정신을 차릴 것인지...

 

 

 

 

 

실종자 수색 장기화 될 듯

대책본부, 정치권 인사 방문 자제 당부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광주 화정동 붕괴사고 실종자 수색을 위한 크레인 해체작업이 작업자의 작업중지권 발동으로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뉴시스·여성신문

 

 

 

 

광주 서구 아이파크아파트 붕괴 현장에서 실종자를 찾기 위해 크레인 해체작업을 벌여야 하는 크레인작업자가 '작업중지권' 발동했다.

 

광주시와 관계기관이 참여한 사고수습통합대책본부(대책본부)는 15일 "작업중지권 발동과 전문가 조언을 토대로 타워크레인 해체 착수 예정 시점이 오는 일요일에서 내주 금요일로 연기됐다"고 밝혔다.

 

대책본부는 "해체크레인 조립과 타워크레인 보강을 동시에 진행하려고 했으나 조립 후 보강으로 계획을 변경했다"며 "작업중지권이 발생하면 시공사는 근로자에게 작업을 강요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작업중지권이란 산업재해 발생이나 그 위험이 있을 때 노동자가 작업을 중지시킬 수 있는 권리로 산업안전보건법에 규정돼 있다.

 

대책본부는 붕괴 이후 기울어진 타워크레인 일부를 해체해 건물 상층부에서 실종자 찾기를 본격적으로 착수한다는 수색 방침을 세웠다.

 

타워크레인 해체 착수 시점이 늦어지는 만큼 수색이 지연될 수 밖에 수 없다.

 

붕괴가 발생한 23∼38층 상층부에는 잔해가 쌓여있고 낭떠러지 공간이 있어 구조대원 투입 대신 내시경 등 장비를 활용한 검색만 이어지고 있다.

 

대책본부는 "해체크레인 조립과 이동을 마치면 붐대(기중기의 팔) 끝에 바구니를 달아 타워크레인 보강 작업자를 올려보내는 순서로 진행할 예정"이라며 "조립 일정도 지반 보강으로 인해 이틀에서 사흘로 기간이 늘었다"고 밝혔다.

 

실종자 수색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도록 정치권 인사 등의 현장 방문 자제도 촉구했다.

 

대책본부는 "어떤 재난보다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이고 현장 곳곳에 위험 요인이 있다"며 "많은 분이 염려하며 현장 방문을 문의하고 계시는데 자제를 요청한다"고 당부했다.

 

유영혁 기자 press@womennews.co.kr

 

#광주붕괴 #아이파크 #작업중지권 #실종자 #타워크레인 #대책본부

 

 

 

 

 

 

 

 

닥터파이어 2층~15층 비상탈출 피난기구 완강기 정식완강기

COUPANG

www.coupang.com

 

 

 

 

동원실업 국가검정품 완강기 7층 (21m)

COUPANG

www.coupang.com

상기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LIST